이전 언어에서도 조건문을 다뤄봤는데요.
조건문은 어떤 조건에 따라서 이후에 실행이 달라지게
하는 문법을 말합니다.
조건문에는 if문, switch-case문 등이 있는데요.
if문부터 구조를 살펴겠습니다.
if문 (Java와 구조가 같음)
if(조건 A){
조건 A가 성립하면 해당 블록을
실행
} else if (조건 B){
조건 A가 아니고 조건 B가 성립하면
해당 블록을 실행
}
else{
위의 조건들에 모두 해당하지 않는 나머지의 경우 해당 블록을 실행
}
다음은 switch-case문입니다.
case가 다양할 때, if문보다 간결하게 나타낼 수 있다는 메리트가 있습니다.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변수의 값에 따라 해당 case문의 내용을 실행하고
default로 기본값도 설정할 수 있습니다.
switch (변수){
case 값1:
내용
case 값2:
내용
default:
내용
}
switch-case문을 한 번 사용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실습
사과 : 100원
바나나 : 200원
키위 : 300원
멜론 : 500원
수박 : 500원
사고싶은 과일을 입력(prompt)해서
그 가격을 출력(alert)
let answer = prompt("사고 싶은 과일을 입력하세요.");
switch(answer){
case '사과':
alert(100);
case '바나나':
alert(200);
case '키위':
alert(300);
case '멜론':
alert(500);
case '수박':
alert(500);}
answer 변수에 prompt로 입력받은 값을 넣고
입력받은 값에 따라
alert를 띄웁니다.
'JavaScript >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JS] Arrow Function (0) | 2025.01.16 |
---|---|
[JS] Function (0) | 2025.01.16 |
[JS] 연산자 (0) | 2025.01.15 |
[JS] 형 변환 (0) | 2025.01.15 |
[JS] DialogBox (0) | 2025.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