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번 시간에 만들었던 모델을 사용해서
간이 회원가입 기능을 구현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server.js에서 Model을 불러옵니다.
POST 기능은 클라이언트가 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됩니다.
평상시 회원가입을 할 때 아이디와 비밀번호 등을 입력하는 것 처럼
PostMan을 통해서 입력된 데이터를 서버로 보내는 요청을 Post라고 합니다.
user 변수를 선언해 스키마를 적용하고
user.save라는 mongoose 메소드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status(200)은 요청이 성공했을 때를 의미하고
성공했을 때는 success : true라는 데이터를 json형태로 반환합니다.
실패했을 때는 catch문을 실행해 success : false데이터와 에러메세지를 반환합니다.
터미널에 npm run start를 입력해서 서버를 실행합니다.
서버 실행해 성공했다면 PostMan을 이용해서 데이터를 보내봅니다.
PostMan은 회원가입 후 PC에 설치를 해서 사용할 수 있는데
API를 간단하게 테스트 할 수 있는 툴입니다.
사용법은 간단합니다.
실행할 작업을 Post로 선택하고 서버 주소를 입력,
Body 탭에 들어가서 json형태로 입력하고 send하면 됩니다.
만든 스키마를 보면 데이터 타입이 5개인데
속성중에 req라는 속성이 true라면 무조건 데이터를 입력해야 하지만
지금은 null이기 때문에 데이터가 누락되도 상관 없습니다.
name, email, password만 입력하고 send 버튼을 누릅니다.
밑을 보면 터미널이 하나 있는데
성공하면 아까 입력한 json 데이터 success로 결과를 볼 수 있습니다.
실패하면 false로 리턴할 것입니다.
개강까지 3주정도 남았는데
백엔드 베이스를 조금이라도 더 쌓아보려 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MongoDB' 카테고리의 다른 글
[MongoDB] Schema와 Model (0) | 2024.02.13 |
---|---|
[MongoDB] Mongosh를 사용해서 데이터 관리 (0) | 2024.02.07 |
[MongoDB, React] Mongoose로 MongoDB와 연결하기 (feat.에러들) (0) | 2024.02.04 |
[MongoDB] MongoDB 초기 설정 (2) | 2024.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