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썸네일형 리스트형 [Python] Up Down 게임 파이썬으로도 Up Down 게임을 만들어봐야겠죠?함수를 사용해서 만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정답은 1~100사이의 숫자로 설정하였습니다. # 유저의 이름을 입력받고 환영하는 인사를 출력def getName(): name = input("이름을 입력하세요") print(name + "님 환영합니다!") 먼저 게임을 시작하면유저의 이름을 입력받고 환영 문구를 출력합니다. # (컴퓨터) 1 ~ 100사이의 랜덤한 정수를 하나 뽑아서def getRandomNumber(): randomNumber = random.randint(1,100) return randomNumber 그리고 1~100사이에 랜덤한 정수를 추출해서정답을 생성하는 함수를 만들었습니다. # 유저에게 정답을 입력하게했을 때# 범.. 더보기 [Python] 로또 번호 뽑기 이번 시간에는 로또 번호를 뽑아보는 실습을 해보려고 합니다.로또 번호는 6개를 뽑을 것이고,1~45까지의 숫자가 있습니다. 먼저 1~45까지의 랜덤한 숫자를 뽑으려면파이썬의 Random기능을 사용해야 하는데요. import random i = random.randint(1, 10) random을 import하고random.randint(범위)를 사용해서 랜덤한 숫자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그러면 이제 랜덤한 숫자를 뽑는 함수를 만들겠습니다. def getNumber(): return random.randint(1,45) 1~45까지의 랜덤한 숫자를 가져오는 함수입니다.num_list = [] #랜덤으로 뽑은 숫자를 담을 listcount = 0 #로또뽑은 횟수 다음은 로또가 들어갈 list를 하나 .. 더보기 [Python] 함수 Python에서 함수는 조금 다르게 정의합니다.function대신에 def를 사용하는데요. def 함수명(파라미터명): 코드 형식입니다.예제를 살펴보겠습니다. def add(a, b): print (a + b) add(2,4) 다음과 같이 콜론 밑에 실행할 코드를 적어주면 되는데이때 들여쓰기를 꼭 해줘야합니다. 함수 파라미터로 아무것도 안들어왔을 때기본값을 지정하고 싶다면파라미터에 값을 대입한 형태로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 def add(a=5, b=8): # 호출할 때 파라미터 값을 안넣어주면 #함수의 파라미터 값을 기본값으로 사용 print (a + b) add(2,4) 더보기 [Python] 반복문 파이썬에서는 반복문의 형태가 Java랑은 조금 다릅니다.for문의 형식은 같은데 파라미터가 다릅니다. (int i = 0 ...) : X(int ii : i) : O Java의 for-each문에 해당하는 반복문과 상당히 비슷합니다.예제를 살펴보겠습니다. l = [123,45,6,78,910]for ll in l: print(ll) 첫번째 예제는 l이라는 리스트를 선언해서해당 list안을 돌면서 list의 요소인ll에 대하여 반복문을 돌리는 방식입니다. for i in range(10): print('ㅋ') 두번째 예제는 마찬가지로 1에서 10까지의 범위를 돌면서반복문을 실행하는데요소인 i에 접근하지 않아도반복문 내의 코드가 반복 실행됩니다. while문 역시 존재하는데요.콜론을 쓴다는 점.. 더보기 [Python] in, not in 파이썬에서 in과 not in은 컬렉션 자료형 안에데이터가 들어있는지 확인하는 기능입니다. #in, not inabc = {"name" : "뜨또", "age" : 19, "phone" : "010-1111-2222"}print("name" in abc)print(20 in abc.values())print("height" not in abc) 예제를 살펴보겠습니다.Dictionary 자료형을 하나 만들어서해당 키 또는 values()기능을 써서해당 value가 있는지 in을 써서 확인해봤습니다.출력은 다음과 같이 되네요. 데이터가 해당 컬렉션 안에 존재하는지의여부를 알 수 있는 in 기능이었습니다. 더보기 [Python] 조건문 Python도 조건문은 Java와 비슷한 형태인데요.흐름 제어를할 때 사용합니다.약간 다른점은Java의 조건문은 if (True) {print("와~조건문")} 이런 형식이었다면파이썬에서는 if True: print("와~조건문") 중괄호가 사라지고 :기호를 씁니다.이떄 기호를 입력하고 엔터를 누르면자동으로 들여쓰기가 되는데들여쓰기를 하지 않으면 조건문 밖에 있는 것으로 간주되어서꼭 들여쓰기를 해야합니다.else문 역시 사용 가능합니다.다중 조건문의 경우는 if와 else는 같은데else if 대신 elif를 사용합니다. 조건문 안에 아직 뭘 쓸지 모르겠다 하시면pass라는 옵션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if True: print("와~조건문") pass #뭘쓸지 모를때 쓰는 pass .. 더보기 이전 1 2 3 4 5 6 7 8 ··· 48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