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avaScript

[JS] 조건문 이전 언어에서도 조건문을 다뤄봤는데요.조건문은 어떤 조건에 따라서 이후에 실행이 달라지게하는 문법을 말합니다.조건문에는 if문, switch-case문 등이 있는데요.if문부터 구조를 살펴겠습니다. if문 (Java와 구조가 같음)if(조건 A){조건 A가 성립하면 해당 블록을실행 } else if (조건 B){조건 A가 아니고 조건 B가 성립하면해당 블록을 실행}else{위의 조건들에 모두 해당하지 않는 나머지의 경우 해당 블록을 실행} 다음은 switch-case문입니다.case가 다양할 때, if문보다 간결하게 나타낼 수 있다는 메리트가 있습니다.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변수의 값에 따라 해당 case문의 내용을 실행하고default로 기본값도 설정할 수 있습니다.switch (변수){case 값1:.. 더보기
[JS] 연산자 JavaScript의 연산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먼저 산술 연산자입니다.흔히 아는 사칙연산  +  -  *  /  와 %(나머지)가 있습니다.그리고 거듭제곱이 있는데요. let a = 2**3; 곱하기를 두번하면 거듭 제곱이됩니다. 사칙 연산자의 우선순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   /)     >     (+,  -) 연산자를 줄여서 쓰는 것도 가능합니다. let num1 = 10;num1 += 5; 증감 연산자 또한 사용이 가능합니다. num1++; 증감 연산자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는데요. let result = num2++;  이렇게 +를 뒤에 붙이는 후위 증감 연산자와 let result = ++num2; +를 앞에 붙이는 전위 증감 연산자가 있습니다. 후위 증감 연산자는 변수의 현재값을 .. 더보기
[JS] 형 변환 JavaScript에서도 자료형에 대하여 형 변환을 할 수 있는데요.JS에서는 숫자형이 아니더라도 표현식을 활용했을 때숫자형으로 변환할 수 있다면 자동으로 형 변환이 되어 계산됩니다.이를 자동 형 변환이라고 하는데요.하지만 원하는 답이 나오지 않을 때도 있기 때문에항상 의도를 가지고 원하는 타입(자료형) 으로변환해서 사용하는것이 필수입니다. 이를 위해 사용하는 것이 명시적 형 변환입니다. 사용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String() => 문자형으로 변환Number() => 숫자형으로 변환Boolean() => 논리형으로 변환   Boolean() : B는 대문자여야 하고 괄호안의 값을 논리형으로 바꿔줍니다. Boolean 형 변환 시 false가 나오는 경우들을 알아보면 - 숫자 0- 빈 문자열("").. 더보기
[JS] DialogBox Dialog Box에는 alert, prompt, confirm의 3가지가 존재합니다.먼저 살펴 볼 alert는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한일방적인 경고창을 띄워줍니다.  다음으로 prompt는 값을 입력 받을 수 있습니다.  이때 취소를 누르면 null값이 나오게 됩니다.prompt에는 default값도 넣을 수 있습니다.default를 이용하면 값을 넣을 때안내하거나 힌트를 주는 역할도 가능합니다.따라서 prompt는 2개의 파라미터를 가질 수 있는데 (보여줄 메시지, 입력받을 default 값) 을 가질 수 있습니다. let name = prompt('예약일을 입력하세요.', "2025-01-"); 이렇게 코드를 작성하게 되면  Default값이 input창에 들어가게 됩니다. 다음으로 confirm은.. 더보기
[JS] Reduce Reduce는 '줄이다'라는 뜻을 가진 단어입니다.JS에도 Reduce라는 메소드가 있는데요.예시를 살펴보겠습니다. const totalSum = cards.reduce((total, card) => total + card.cost * card.quantity, 0);                            Reduce의 사용 방법은 이렇습니다.  array.reduce((accumulator, currentValue, currentIndex, array) => {    }, initialValue);  accumulator: 누적값을 저장하는 변수(여기선 total).currentValue: 배열의 현재 요소(여기선 card).initialValue: 누적값의 초기값(여기선 0).   cons.. 더보기
[JS] 자료형 JavaScript의 자료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먼저 문자열 String 방식이 있는데요.문자열을 표현하는 방법에는 3가지가 있습니다. let name = "beaver"; => 큰따옴표로 표현하는 방법  let name2 = 'beaver' ;' => 작은 따옴표로 표현하는 방법   let name3 = `beaver`; => backtick 표현 방법(물결 단축키) 이때 작은 따옴표 문자열 안에작은 따옴표를 문자로 사용하려면 역슬래시 넣어서작은 따옴 표를 문자로 인식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let message = 'I'm a boy' => 에러 발생. let message = 'I\'m a boy' backtick은 보통 문자열 내부에 변수를 표현할 때 사용합니다.${변수명}을 넣어서 표현하는.. 더보기